XML, JSON, 그리고 YAML은 모두 데이터 표현 형식으로서 컴퓨터와 다른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저장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각각의 형식은 다양한 용도와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은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표현하기 위한 마크업 언어입니다.
시작 태그와 종료 태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계층적으로 표현합니다.
데이터 표현이 간단하고 읽기도 쉬우며, 구조를 자유롭게 정의할 수 있습니다.
널리 사용되는 데이터 교환 형식이지만, 태그의 중복과 긴 문서 길이 때문에 파일 크기가 크고 가독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습니다.
웹 서비스에서 SOAP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등과 함께 사용되기도 합니다.
(예시)
<?xml version="1.0" encoding="UTF-8"?>
<shop city="인천" type="시장">
<food>
<name>사과</name>
<sort>과일</sort>
<cost>2000</cost>
</food>
<food>
<name>깻잎</name>
<sort>야채</sort>
<cost>1000</cost>
</food>
</shop>
JSON (JavaScript Object Notation):
JSON은 경량의 데이터 교환 형식으로, JavaScript에서 파생되었습니다.
객체와 배열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표현합니다.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직렬화하는 데 매우 효율적이며, 사람과 기계 모두 이해하기 쉬운 형식입니다.
웹 API와 클라이언트 간 데이터 교환에 많이 사용되며, 최근에는 거의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JSON을 지원합니다.
가장 대중적이죠.
(예시)
{"판매자정보" : { "이름" : "김나무", "지역" : "서울" } , "판매품목" : ['사과','배','딸기'] }
YAML (YAML Ain't Markup Language):
YAML은 인간이 읽기 쉽고 쓰기 쉬운 데이터 표현 형식입니다.
들여쓰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계층적으로 표현합니다.
주석을 지원하고 중복을 피하기 위해 앵커와 별칭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설정 파일, 구성 파일 등을 작성할 때 많이 사용되며, 특히 구성 관리 시스템에서 많은 지원을 받습니다.

간단히 말하면, XML은 마크업 언어로 계층적 데이터 표현에 사용되고, JSON은 JavaScript에서 파생된 경량 데이터 표현 형식이며, YAML은 사람이 읽기 쉽고 쓰기 쉬운 형식으로 설정 파일과 구성 파일에 주로 사용됩니다. 각 형식은 각자의 장점과 사용 시나리오가 있으므로, 사용하려는 목적과 상황에 따라 적절한 형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YAML이 가장 편해보이지만
오히려 속도가 느리다고 합니다.
JSON 이 가장 대중적인 이유가 있겠죠.
'■ Web개발 > 기초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 주소 (0) | 2024.03.31 |
---|---|
Fetch / AJAX / Axios (0) | 2024.03.31 |
API란 (0) | 2024.03.31 |
웹앱 vs 하이브리드 앱 vs PWA (0) | 2024.03.31 |
쿠키 / 세션 / 토큰 / 캐시 / CDN (0) | 2024.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