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사주

(8)
십성으로 성격 파악하기 2-4: 재성. 가지고 싶다는 마음. 드디어 재성입니다! 간혹 글을 기다려주시는 분들이 계셔서.. 감사한 마음으로 열심히 적어봅니다. 내가(일간이) 극하는 오행이고, 음양이 같을 때는 편재. (수극화, 화극금, 금극목, 목극토, 토극수) 내가 극하는 오행이고, 음양이 다를 때는 정재입니다. 재성이란 내가 극하는 것입니다. 나보다 아래입니다. 내가 누리는 것입니다. 내 지배 하의 존재입니다. 지배욕. 무언가를 소유하고 싶은 욕구입니다. 나의 욕망이자 마음입니다. 대표적으로 예를 들어, 재성은 돈입니다. 편재는 나와 음양이 같으니 생각이 짧은 본능적인 돈입니다. 큰 돈입니다. 로또. 내가 생각 짧게 누리는 것. 본능적입니다. 한탕주의적입니다. 크게 움직입니다. 정재는 나와 음양이 다르니 생각이 다소 많은 이성적인 돈입니다. 비교적 적은 돈입니다..
십성으로 성격 파악하기 2-3: 관성. 왕관을 쓰려는 자, 그 무게를 견뎌라 안녕하세요~ :) 글을 오랜만에 쓰게 되네요. 아침부터 눈도 오고, 기분이 좋아서 ㅋㅋ 글을 씁니다. ​ 오늘은 관성에 대해 써보고자 합니다. 관성이란 오행상 나를 극하는 성분입니다. ​오행상 나를 괴롭히는 글자이니.. 당연히 안 좋아야 할텐데 관성이 왕관? 나를 괴롭히는 녀석이 왜 왕관에 비유되냐 하시면 간단히 신사임당의 회초리를 생각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신사임당은 율곡이이를 키우면서.. 아주 귀하게 보관하던 것이 있는데 바로 회초리였습니다. 이것이 아이를 바로잡아주니, 반드시 귀하게 보관하여야 한다고.. 회초리를 소중히 다뤘다고 합니다. 살아가는데 있어 내가 하고싶은 것만 하는 사람은 크게 성장하기 어렵겠죠. 어느정도 자신을 이겨내고, 하기 싫어도 할줄 아는 능력을 키워줘야 성공을 할 수 있을..
십성으로 성격 파악하기 2-2: 나(비견)를 생해주는 인성. 나를 생해주면, 아군인가 적인가? 십성2편의 두번째!!! 인성입니다. 비겁 다음에 식상을 하려고 했지만. 편인스럽게 청개구리처럼! 인성부터 해보겠습니다 ㅋㅋ 인성이란 나를 도와주는 성분입니다. 내가 힘들 때. 외로울 때. 뭔가 실천하고 싶은데 혼자선 못하겠을 때. 흔히 말하는 귀인입니다. 나를 도와주는 사람. 그렇기에 나를 가장 가까이서 도와주는 존재, 어머니를 흔히 인성으로 보고는 합니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이런 단어가 있습니다. 모다멸자(母多滅子) 어머니가 너무 많으면, 자식을 망친다. 어째서 이런 단어가 생겼을까요? 일단 도움이란 좋은 것이고, 필요한 것입니다. 위기를 겪을 때 나를 위기에서 꺼내주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지혜를 내게 만들어 주겠죠. 그렇기에 인성은 똑똑합니다. 현명하고 지혜롭습니다. 두뇌회전..
십성으로 성격 파악하기 2-1: 사주의 시작, 내 자신! 비견과 겁재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글을 쓰게 되네요.^^; 빨리빨리 쓰고싶은데, 나름 체계적으로 쓰고 싶은 욕심도 있고 글을 쓰면 많이 고치고 고치는 성격이라서.. 성격상 글을 시작하기가 좀 어려운 면이 있습니다 ㅋㅋㅋ 시작이 반이라는 말이 인성을 위해 나온 말이 아닌가 싶네요 ㅋㅋ 여튼. 첫번째 비견과 겁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만세력을 찾아보면 내 자신을 뜻하는 글자가 비견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오행과 음양이 모두 내 자신(일간)과 같을 때. 이를 비견이라고 하며 오행은 같은데 음양이 다를 때는 겁재라고 합니다. 비견은 나 그 자체이니, 내 자신에 대한 마음. 즉 주체성을 의미합니다. 겁재는 나와 음양이 다른 나이니, 나와는 다른 나를 추구하는 마음. 즉 욕망을 의미합니다. ​ 사주에 비견이 강하면 내 주체성이..
십성으로 성격 파악하기 1-3: 십성 세우기 어플이나 인터넷으로 만세력을 뽑아보면 이런식으로 사주가 나오게 됩니다. 나 아(我)나 주인 주(主)가 보통 써져있을텐데 저 위치에 있는 글자가 내 자신입니다. 즉 "기준" 인 일간입니다.(일간 = 태어난 일의 천간) 위의 사주는 갑술년 갑자월 기축일 을해시에 태어난 사주입니다. 일간이 己 이므로, 기토일간입니다(글자가 기, 오행이 토). 음의 토인 기토가 기준이 됩니다. 옆에 뭐라뭐라 적혀있습니다. 편관 정관 겁재 정재 비견 편재 겁재.. 이 부분이 십성입니다. 그럼 이제 드디어.. 십성 세우는 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십성을 세우는 법은 간단합니다. 오행을 응용하면 됩니다. 먼저 십성의 종류부터 소개드리겠습니다. ​ 비견, 겁재 식신, 상관 편재, 정재 편관, 정관 편인, 정인 ​ 이렇게 열가지입니다. ..
십성으로 성격 파악하기 1-2: 천간의 합, 오행의 생극 합이란 끌림입니다. 무언가를 원하는 마음입니다. 다른 글자들에 비해 작용이 큽니다. ​천간의 합은 5가지입니다. 먼저 천간의 앞 5글자를 씁니다. 갑을병정무 후에 천간의 뒤 5글자를 씁니다. 기경신임계 두개를 붙여보면, 갑을병정무 기경신임계 입니다. 여기서 위의 글자와 아래글자가 합입니다. (甲己, 乙庚, 丙辛, 丁壬, 戊癸) (갑기, 을경, 병신, 정임, 무계) ​음양을 표시해보면 갑을병정무 기경신임계 ​양과 음의 합입니다. 흔히 말하는 음양의 조화이죠. 양은 음을 좋아하고, 음은 양을 좋아합니다. 오행의 생과 극입니다. 방금 그렸더니 ... 볼품없군요. 생은 살리는 것이고, 극은 해치는 것입니다. ​목은 화를 생하고 화는 토를 생하고 토는 금을 생하고 금은 수를 생하고 수는 목을 생합니다. ​목->화..
십성으로 성격 파악하기 1-1 : 천간 음양오행 오행과 음양을 알고 십성을 세우는 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사실 만세력을 뽑으면 십성이 바로 나옵니다. 성격이 급하시다면 넘어가도 되지만.. 기초중의 기초인만큼, 중요합니다. 4주 8자중 4글자는 천간, 4글자는 지지입니다. 즉 하늘과 땅입니다. 갑을병정 자축인묘 ​이런 사주가 있다면, 위의 4글자(갑을병정)은 하늘. 즉 천간입니다.(天) 아래의 4글자(자축인묘)는 땅. 즉 지지입니다.(地) ​하늘이란 드러나는 것. 땅이란 숨겨져 있는 것입니다. 하늘은 보이지만 땅 아래는 안보이죠. 그렇기에 보여지는 성격의 경우 주로 천간으로 파악합니다. 그러면 천간에는 어떤 글자가 있을까요.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10개의 글자가 천간에 사용됩니다. 그리고 이 10개의 글..
십성으로 성격 파악하기 1-0 : 사주는 마음의 모양이다 십성으로 성격 파악하기! 1-0입니다 ㅋㅋ 원체 글도 잘 못쓰고, 두서없이 써보기 시작하는거라 숫자가 몇까지 갈지는 모르겠지만. 간단히 써보고자 합니다. 보통 사주를 보는 가장 큰 목적은, 미래를 맞추는데 있지 않을까 싶은데요. 저같은 경우는 십성부터 공부를 했습니다. 오행도 공부하긴 했지만 십성을 중요하게 가르쳐주시는 곳에서 사주공부를 시작해서요. 제가 이 글들을 통해 알려드리고 싶은 핵심은 이겁니다. '사주는 마음의 모양이다' 내 마음이 어떤 형식으로 움직이는지. 나는 나를 알고있는지? 내 행동의 결과에는 분명한 원인이 있는지. 이유가 있다면 그건 내 마음인지, 운명인지.. 답이야 가지각색일테니. 한 번 쉽게 사주를 배워보시고 스스로에 대해 생각해보는 기회를 갖게 된다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