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이란 끌림입니다. 무언가를 원하는 마음입니다. 다른 글자들에 비해 작용이 큽니다.
천간의 합은 5가지입니다.
먼저 천간의 앞 5글자를 씁니다.
갑을병정무
후에 천간의 뒤 5글자를 씁니다.
기경신임계
두개를 붙여보면,
갑을병정무
기경신임계 입니다.
여기서 위의 글자와 아래글자가 합입니다.
(甲己, 乙庚, 丙辛, 丁壬, 戊癸)
(갑기, 을경, 병신, 정임, 무계)
음양을 표시해보면
갑을병정무
기경신임계
양과 음의 합입니다. 흔히 말하는 음양의 조화이죠.
양은 음을 좋아하고, 음은 양을 좋아합니다.
오행의 생과 극입니다.
방금 그렸더니 ... 볼품없군요.
생은 살리는 것이고, 극은 해치는 것입니다.
목은 화를 생하고
화는 토를 생하고
토는 금을 생하고
금은 수를 생하고
수는 목을 생합니다.
목->화->토->금->수->목 회전합니다. 돌고 돕니다.
땔깜으로 불을 지피고 불기운은 땅에 들어가고 땅 안에서는 금속이 생기고 금속은 수를 정화시키고 나무는 물을 먹고 삽니다.
(외우기 좋으라고 억지로 껴맞춘 것입니다. 느낌으로 외우시면 되겠습니다.)
목은 토를 극하고, 토는 수를 극하고, 수는 화를 극하고, 화는 금을 극하고, 금은 목을 극합니다. 그림으로 보면 별표처럼 돼있죠.
나무는 땅의 기운을 빼앗고 흙은 물을 더럽히고, 물로 불을 끄고, 불로 금을 제련하고, 쇠도끼로 나무를 치고..(껴맞추기)
이렇게 오행은 서로간에 물고 물리는 상대성을 가집니다.
사주를 볼 때, 화가 너무 강한 것이 문제라면.. 보통 수로 치거나 토로 화기운을 흘려주면 좋다고 말씀드립니다.(수극화, 화생토)
복잡하게 들어가면 끝이 없지만, 이런 식으로 오행의 흐름을 이용하여 개운에 대해 논할 수 있습니다.
내용을 모르시겠으면! 오행의 생극관계만은 알아두시길 바랍니다.
십성을 논할때도 이 상대성은 아주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 사주 > 십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십성으로 성격 파악하기 2-2: 나(비견)를 생해주는 인성. 나를 생해주면, 아군인가 적인가? (1) | 2021.11.23 |
---|---|
십성으로 성격 파악하기 2-1: 사주의 시작, 내 자신! 비견과 겁재 (0) | 2021.11.16 |
십성으로 성격 파악하기 1-3: 십성 세우기 (0) | 2021.11.16 |
십성으로 성격 파악하기 1-1 : 천간 음양오행 (0) | 2021.11.09 |
십성으로 성격 파악하기 1-0 : 사주는 마음의 모양이다 (0) | 2021.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