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플이나 인터넷으로 만세력을 뽑아보면
이런식으로 사주가 나오게 됩니다.

나 아(我)나 주인 주(主)가 보통 써져있을텐데 저 위치에 있는 글자가 내 자신입니다.
즉 "기준" 인 일간입니다.(일간 = 태어난 일의 천간)
위의 사주는 갑술년 갑자월 기축일 을해시에 태어난 사주입니다.
일간이 己 이므로, 기토일간입니다(글자가 기, 오행이 토). 음의 토인 기토가 기준이 됩니다.
옆에 뭐라뭐라 적혀있습니다. 편관 정관 겁재 정재 비견 편재 겁재..
이 부분이 십성입니다.
그럼 이제 드디어.. 십성 세우는 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십성을 세우는 법은 간단합니다. 오행을 응용하면 됩니다.
먼저 십성의 종류부터 소개드리겠습니다.
비견, 겁재
식신, 상관
편재, 정재
편관, 정관
편인, 정인
이렇게 열가지입니다.
십성을 살펴보면 조금 공통점이 보입니다.
왼쪽에는 편이 3개있고 오른쪽에는 정이 3개가 있습니다.. 왜일까요?
이유가 있습니다. 편이란 치우칠 편(偏)이며, 정은 바를 정(正)입니다.
왼쪽은 나(비견)과 같은 음양, 오른쪽은 다른 음양입니다.
팔은 안으로 굽는다, 가재는 게편이다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사람들은 보통 나와 비슷한 사람에게 끌립니다.
하지만 나와 비슷한 사람들만 만나다보면.. 우물 안 개구리가 됩니다. 다름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속이 좁아지기도 합니다.
나와 가까운 사람 혹은 내 자신, 즉 내 생각 속으로 치우치게 됩니다.
이것이 '편'입니다. 성공과 실패 혹은 정의로움을 떠나서, '편'은 기본적으로 치우침을 가지게 됩니다.
이런 치우침을 가지게 되는 이유는, 나의 일간과 음양이 같기 때문입니다. 나와 비슷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나의 일간과 음양이 같은 글자들을, "비견, 식신, 편재, 편관, 편인"으로 배치합니다.
나의 일간과 음양이 다른 글자들을, "겁재, 상관, 정재, 정관, 정인"으로 배치합니다.
즉 내가 만약 갑목일간이라면
위처럼 양의 글자들은 모두 편인 편관 등으로 배치가 됩니다.
(일간은 나입니다. 나는 비견이지만 비견이라고 꼭 나는 아님. 일간 말고 다른 곳에 갑목이 있으면 비견임)
그러면 나와 음양이 같은 글자는 식신편재편인편관비견..을 쓰는데
이 글자들을 나누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바로 오행입니다. 오행의 생극관계에 따라 결정이 됩니다.
위의 그림처럼 내가 木 일간이라면.
목(비겁)은 화(식상)를 생하며
화는 토(재성)을 생하며
토는 금(관성)을 생하며
금은 수(인성)을 생하며
수는 목을 생합니다.
비겁(비견,겁재)은 식상(식신,상관)을 생하며
식상은 재성(편재, 정재)을 생하며
재성은 관성(편관, 정관)을 생하며
관성은 인성(편인, 정인)을 생하며
인성은 비겁을 생합니다.
그럼 내가 火 일간이라면?
화(비겁)는 토(식상)를 생하며..(생략) 이런식으로 나아가게 됩니다.
초심자시면 여기서 헷갈리실 경우, 정상입니다.
처음 공부할 때 이거를 외우는데.. 한참 걸렸습니다. ㅋㅋㅋ 저는 암기력이 거의 블랙홀 수준입니다. 외우면 없어집니다.
음... 원리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게 가벼운 맛보기를 보자면요.
나(비겁)는 나로부터 나오는 노력(식상)을 하여 돈(재성)을 벌고 출세(관성)를 하여 인정(인성)을 받고 자존심(비겁)을 세우겠다.
비겁 생 식상 생 재성 생 관성 생 인성입니다.
이런식으로 십성의 흐름이 진행되어집니다~
'■ 사주 > 십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십성으로 성격 파악하기 2-2: 나(비견)를 생해주는 인성. 나를 생해주면, 아군인가 적인가? (1) | 2021.11.23 |
---|---|
십성으로 성격 파악하기 2-1: 사주의 시작, 내 자신! 비견과 겁재 (0) | 2021.11.16 |
십성으로 성격 파악하기 1-2: 천간의 합, 오행의 생극 (0) | 2021.11.13 |
십성으로 성격 파악하기 1-1 : 천간 음양오행 (0) | 2021.11.09 |
십성으로 성격 파악하기 1-0 : 사주는 마음의 모양이다 (0) | 2021.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