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 (3) 썸네일형 리스트형 십성으로 성격 파악하기 2-3: 관성. 왕관을 쓰려는 자, 그 무게를 견뎌라 안녕하세요~ :) 글을 오랜만에 쓰게 되네요. 아침부터 눈도 오고, 기분이 좋아서 ㅋㅋ 글을 씁니다. 오늘은 관성에 대해 써보고자 합니다. 관성이란 오행상 나를 극하는 성분입니다. 오행상 나를 괴롭히는 글자이니.. 당연히 안 좋아야 할텐데 관성이 왕관? 나를 괴롭히는 녀석이 왜 왕관에 비유되냐 하시면 간단히 신사임당의 회초리를 생각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신사임당은 율곡이이를 키우면서.. 아주 귀하게 보관하던 것이 있는데 바로 회초리였습니다. 이것이 아이를 바로잡아주니, 반드시 귀하게 보관하여야 한다고.. 회초리를 소중히 다뤘다고 합니다. 살아가는데 있어 내가 하고싶은 것만 하는 사람은 크게 성장하기 어렵겠죠. 어느정도 자신을 이겨내고, 하기 싫어도 할줄 아는 능력을 키워줘야 성공을 할 수 있을.. 십성으로 성격 파악하기 2-1: 사주의 시작, 내 자신! 비견과 겁재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글을 쓰게 되네요.^^; 빨리빨리 쓰고싶은데, 나름 체계적으로 쓰고 싶은 욕심도 있고 글을 쓰면 많이 고치고 고치는 성격이라서.. 성격상 글을 시작하기가 좀 어려운 면이 있습니다 ㅋㅋㅋ 시작이 반이라는 말이 인성을 위해 나온 말이 아닌가 싶네요 ㅋㅋ 여튼. 첫번째 비견과 겁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만세력을 찾아보면 내 자신을 뜻하는 글자가 비견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오행과 음양이 모두 내 자신(일간)과 같을 때. 이를 비견이라고 하며 오행은 같은데 음양이 다를 때는 겁재라고 합니다. 비견은 나 그 자체이니, 내 자신에 대한 마음. 즉 주체성을 의미합니다. 겁재는 나와 음양이 다른 나이니, 나와는 다른 나를 추구하는 마음. 즉 욕망을 의미합니다. 사주에 비견이 강하면 내 주체성이.. 십성으로 성격 파악하기 1-3: 십성 세우기 어플이나 인터넷으로 만세력을 뽑아보면 이런식으로 사주가 나오게 됩니다. 나 아(我)나 주인 주(主)가 보통 써져있을텐데 저 위치에 있는 글자가 내 자신입니다. 즉 "기준" 인 일간입니다.(일간 = 태어난 일의 천간) 위의 사주는 갑술년 갑자월 기축일 을해시에 태어난 사주입니다. 일간이 己 이므로, 기토일간입니다(글자가 기, 오행이 토). 음의 토인 기토가 기준이 됩니다. 옆에 뭐라뭐라 적혀있습니다. 편관 정관 겁재 정재 비견 편재 겁재.. 이 부분이 십성입니다. 그럼 이제 드디어.. 십성 세우는 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십성을 세우는 법은 간단합니다. 오행을 응용하면 됩니다. 먼저 십성의 종류부터 소개드리겠습니다. 비견, 겁재 식신, 상관 편재, 정재 편관, 정관 편인, 정인 이렇게 열가지입니다. .. 이전 1 다음